서양철학사 | 목차정리

 


세상의 모든 철학 - 10점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2012년에 진행된 강유선 선생님의 서약철학사강의를 녹음파일을 듣고 정리한다.

 

목차

01강: 철학이란 무엇인가/ 철학사는 무엇인가/ 한국에서 철학사를 읽는 이유

02강: ‘축(軸)의 시대’와 사상사적 전환/ ‘대우주(大宇宙)-소우주(小宇宙) 모형’의 의미

03강: 철학, 신화, 종교, 과학/ 희랍철학의 원류들과 고유한 형성

04강: 희랍철학의 전개/ 자연철학자들/ Thoukydides의 의의

05강: 근본범주들/ 형이상학: 자체에 대한 사유/ 상대적 nomos와 절대적 nomos

06강: Sokrates: 방법론, 적극적 주장, Platon과의 구별

07강: Sokrates의 성취와 한계, Platon의 계승/ Idea론[形相論]

08강: Platon의 ‘동굴의 비유’: 고개돌림(periagōgē), 오름(anabasis)

09강: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 내 것, 불멸, ‘eros의 사다리’

10강: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

11강: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

12강: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 entelecheia, energeia

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

14강: 세계/ 세계상/ 세계관,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

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

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17강: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18강: Gottesnahe,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19강: 기독교의 사회철학적 의의, 새로운 문화적 정체성의 성립 문제, 필론의 시도

20강: 학문적 크레딧과 호칭, Plotinos의 철학: 존재의 대연쇄, 유출, 영혼의 역할

21강: 헬레니즘적 기독교의 가톨릭으로의 전개, Augustinus의 기본 사상

22강: ≪고백록confessiones≫의 구조와 성격

23강: ≪고백록confessiones≫ 읽기

24강: 안셀무스, 아벨라르두스, 베르나르두스

25강: 토마스 아퀴나스, 보편개념실재론의 의의, 사상사에서의 방법론적 전환

26강: 송명이학의 성립 배경: 유교의 체제교학화, 삼교일치론

27강: 사대부와 남송도학운동, 주희(朱熹)와 사서(四書), 체제교학으로서의 주자학

28강: 송명이학의 형이상학, 조선 성리학의 전개, 전승된 정신사적 유산

29강: 스콜라 철학 후기, Scotus, Ockham, Nikolaus von Kues

30강: Nikolaus von Kues: docta ignorantia, Deus absconditus, identitas

31강: 르네상스 시대의 혼재성 또는 다종성. Machiavelli의 새로운 정치학

32강: Bacon: 철학개념의 재정의와 학문방법론의 전환에 의한 적정사회 건립

33강: 근대철학 개관: Descartes, Locke, Spinoza, Newton / Hume, Rousseau

34강: Descartes의 방법론적 혁신과 주관성의 철학, Locke의 경험적 대상인식론

35강: Spinoza의 방법론-형이상학-윤리학, Newton의 수학적 원리에 따른 자연철학

36강: 흄: 인과율 분석의 의의, 루소: 소유권 기반 사회에서 일반의지 사회로의 전환

37강: 계몽철학의 완성자로서의 Kant, 구성설적 인식이론

38강: Kant의 실천철학, 목적론과 사변철학으로의 端初

39강: Hegel 철학의 형성과정, Hegel의 Front, 철학의 목표로서의 ‘삶의 통일’

40강: Hegel의 형이상학: 유한자와 무한자의 통일, 무한자의 입장으로 올라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