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사 | 14 세계/ 세계상/ 세계관,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
- 강의노트/라디오인문학外 2013
- 2012. 10. 17.
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
20120511 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
교재 목차: 종교와 정신성-세 개의 철학적 주제 / 동양의 지혜 1-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교재 155-174 부분 읽을 것
1) 세계관으로서의 철학, 세계관의 하나로서의 종교
- 세계
세계란 대상 일반으로 표현되는 무제한적 전체. 철학적 맥락에서의 '세계'란 나 바깥의 모든 것
공부, 학문적인 노력이란 대상 일반으로 표현되는 무제한적 전체로서의 세계를 이해하려는 노력
동물,식물에게는 환경세계가 있다.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세계에 닫혀있다.
- 세계개방성
인간은 미지의 존재로 태어나 잠재적 힘을 세계에 실현시키는 존재
인간은 환경세계에 열려있다.
막스 쉘러 의 용어 1870-19
세계개방성은 인간만이 가진 공유한 특성
- 세계상
世界像, Weltbild
특정한 관점에서 파악된 세계 이해(생물학적, 물리학적, 인문학적 세계 이해)
세계상 = 세계이해 거의 같은 뜻으로 보면 된다.
이해를 바탕으로 행위하려는 의지, 태도가 덧붙여지면 세계관이 된다.
세계를 이해할 때 이용하는 틀 frame
- 세계관
Weltanschauung(벨트안샤웅, Welt-세계, anschauung-본다 )
칸트가 처음 만들어낸 말
딜타이가 학문적 용어로 사용: 세계관은 세계에 대한 지식 그리고 가치판단, 궁극 목적으로 구성
세계관 = 세계의이해 + 의지의태도
세계상,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행위하고자 하는 태도와 실천원리가 더해진다.
의지의태도에는 가치평가가 포함된다, 즉 꼭 판단이 개입된다.
- 시대정신
세계관이라고 하는 것은 현실에서 펼쳐지는 구체적인 행위와 그 행위가 모여서 만들어지는 하나의 의례, 형식적인 절차,
제도 이런 것들을 필연적으로 수반하기 마련
그래서 이런 것들을 우리는 현실 속에서 객관화되는 정신이다라고하여 객관적 정신이라고 부른다.
법은 객관적 정신이다. 불변의 것이 아니라 인간 공동체가 합의하는 방식으로 만들어 진다.
덕, 관습, 제도 이런 것들은 객관적 정신의 외부적 표현 형태.
특정한 역사적 국면에서 특정한 인간 공동체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난 객관적 정신을 말할때 시대 정신이라고 부른다.
시대정신은 세계관과 시대정신이 깊이 관여하고 있다.
특정시기를 규정하면 "시대정신"
Zeitgeist (짜이트가이스트, 시대정신) = 객관적정신 + 시기 (Epoch, 에포크)
세계를 이해하고 그런한 이해를 바탕을 두고 행위을 이끌어 내기 위한 가치평가를 하고 궁극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세계관
세계관은 인간의 행위까지 이끌어 낸다.
- 종교
세계관과 종교라는 말은 호환해서 쓸 수 있으며, 세계관이 더 넓은 표현
종교란 세계관의 하나로서, 신성하고 고유한 우주를 세우려는 기획 또는 시도
신성함이라는 단어가 중요.
신성함이라는 계기가 있다.
신성함을 드러내는 의식이 있다.
2) 인도에서 생겨난 종교
- 인도에서 발생한 고대 종교의 공통적인 요소들
1. 베다철학에 바탕에 두고 있다.
2. 신성함에 대한 강박관념이적다
3. 신이 법칙적 성격을 가지고있다. 비인격적인 측면이 강하다
- 핵심 개념
dharma(다르마, 법, 法) 우주의 섭리, 이치 >> 법칙적성격
brahma(브라마, 범, 梵)와 같다. >> 좀 더 인격적 의미가 들어 있다.
atman(자아, 自我)
karma(업, 業)
samsara(삼사라, 윤회)
moksha(모크샤), nirvana(니르바나) 해탈
- 힌두교
1. 원래 atman과 brahma는 하나였다. 梵我一如(범아일여)
2. 언제부턴가 (어쩌다보니) 따로 떨어져 atman이 태어났고, samsara가 시작되었다.
3. atman이 yoga를 통해 karma를 덜어내고 brahma와 합치가 되면 nirvana가 된다.
번뇌가 그치지 않는 한계지점에서 자이나교와 불교가 탄생하였다.
- 자이나교
梵我一如가 해탈의 경지가 아니다라는 것에서 출발
창시자는 마하비라 mahavira
인도의 소수종파 - 삼천만, 주로 상업에 종사
atman에 묻어있는 때(karma)를 없애야 해탈을 할 수 있다.
철저한 불살생이 수행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미생물까지 불살생
철저한 채식, 농업에 종사하지 않는다.
브라만교의 카스트를 무시한다.
공의파와 백의파 로 나눈다.
공의파 - 피부와 옷 사이의 미생물을 생각해서 옷을 걸치지 않고, 빗자루로 바닥을 쓸며 다닌다.
- 불교
atman을 부정하는 것에서 출발
인도불교는 눈 앞에 보이는 세계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말하는 유일한 종교. 부정의 종교
'강의노트 > 라디오인문학外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사 | 18 Gottesnähe, 헬레니즘적 기독교, Paul의 성취, “gaudium et spes” (0) | 2012.11.13 |
---|---|
서양철학사 | 17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0) | 2012.11.12 |
서양철학사 | 16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0) | 2012.10.19 |
서양철학사 | 15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 (0) | 2012.10.18 |
서양철학사 | 13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 (0) | 2012.10.16 |
서양철학사 | 12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 entelecheia, energeia (0) | 2012.10.04 |
서양철학사 | 11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 (0) | 2012.10.03 |
서양철학사 | 10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 (0) | 201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