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철학 - 로버트 솔로몬 외 지음, 박창호 옮김/이론과실천 |
2012.5 강의
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
14강: 세계(Welt)/ 세계상(Weltbild)/ 세계관(Weltanschauung),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
15강: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
16강: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20120504 13강: nous철학의 종언, Epikouros의 철학: tetrapharmakon, Lucretius의 철학시(哲學詩), Stoa철학: Marcus Aurelius의 «명상록», 18세기 이신론(理神論)
교재 목차: 험난한 시대-스토아 철학, 회의주의, 에피쿠로스의 철학
1) 험난한 시대의 철학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은 이성주의, 형이상학적 철학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며, 이성을 극대화하는 노력을 통해 신적 지혜에 다가갈 수 있다.
실천적 삶과 관조적 삶을 통해 nous에 이를 수 있다.
>> 즉, 거친세계가시작되었다
137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철학은 여러 학파간에 경쟁하는 시기를 맞이하였다. 그러한 경쟁은 플라톤의 아카데메이아와 아리스토텔레스의 리케움 사이뿐만 아니라, 새로 생겨난 경쟁적인 학파들 사이에서도 있었다.
그리스 도시국가의 붕괴, 야심적인 군주들 사이의 무의미한 전쟁들, 이집트에서의 박해와 학살, 로마의 침략으로 인한 그리스의 황폐화 및 대제국의 두드러진 퇴폐와 쇠퇴 등을 포함하여 점차 거칠어지고 있던 당시의 상황에 대응하여 철학자들이 취했던 서로 아주 다른 방향들에 관심을 집중할 것이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이 지닌 놀라운 폭과 그러한 철학의 폭에 자양분이 된 도시국가 세계는 알렉산드로스의 승리 및 죽음과 더불어 갑작스러운 종말을 맞이하였다. '정치적인 철학'도 종말을 맞이하였다.
138 철학은 팀 스포츠 같은 것이 되었으며 동시에 좋은 삶에 대한 추구가 되었다. 그리스 로마 시대 철학이 점차 '통속적인' 일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은 지적해둘만한다.
헬레니즘 시대의 또 다른 두드러진 특징은 세계주의와 보편주의였다. 이것은 부분적으로는 그리스의 강제적인 통일과 이집트와 페르시아의 정복에 기인하였다.
알렉산드리아에서는, 동방에서 온 종교들이 뒤섞이면서 그리스인들의 사고에 영향을 주었으며 그 뒤에는 로마인들의 사고에도 영향을 주었다.
2) 에피쿠로스주의
139 아테네로 되돌아가보면, 헬레니즘 철학은 많은 학파들을 융성하게 만들었다. 여기에는 에피쿠로스 학파도 포함되어 있다. 에피쿠로스는 데모크리토스의 추종자로서 별로 신통치 않은 원자론자이자 에피쿠로스주의(쾌락주의)의 창시자였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불안으로부터의 자유, 즉 아타락시아(ataraxia, 평정심)이었다.
에피쿠로스주의의 tetrapharmakon(테트라파르마콘, 네가지 치유책)
1. 신은 두려움을 주지 않는다.
2. 죽음은 걱정을 주지 않는다.
3. 좋은 것은 얻을 수 있다.
4. 나쁜 것은 견디면 된다.
루크레티우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1,2부 원자 → 3,4부 인간 → 5,6부 세계(우주)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서사시 전통 + 엠페도클레스의 철학시 전통에 에피쿠로스의 내용을 담았다.
오늘날 철학시 전통은 니체, 키에르케고르, 파스칼이 이어받았다.
베르길리우스도 루크레티우스의 철학시 영향을 받음.
3) 스토아철학
우주를 지배하는 섭리가 있다.
인간을 포함한 만물이 섭리의 지배를 받는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고, 이성적 존재이기 때문에 이 섭리를 깨달을 수 있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
>> 우주의 근본 원리에 대한 논의, 우주 속에서의 인간의 위치에 대한 탐구,인간을 어떤 존재로 보느냐에 대한 탐구
143 스토아 철학은 극단적인 철학이지만, 어렵고 혼란한 시대에는 많은 영혼에 봉사할 수 있는 철학이었다. 그리하여 로마와 로마제국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실제로 스토아학파의 금욕주의의 옹호와 비이상적으로 보이는 세계 속에서의 더 큰 합리송에 대한 통찰은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에 의해 채택되어 그리스도교 철학의 본질적인 부분이 되었다.
'강의노트 > 라디오인문학外 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철학사 | 17 철학·사상의 보편화, 서양과 중국 존재론의 근본구도 (0) | 2012.11.12 |
---|---|
서양철학사 | 16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초기 기독교, 이슬람교 (0) | 2012.10.19 |
서양철학사 | 15 인도불교, 중국 사상의 기본개념, 중국의 종교들: 유교, 도교, 불교 (0) | 2012.10.18 |
서양철학사 | 14 세계/ 세계상/ 세계관, 인도의 종교들: 힌두교, 자이나교 (0) | 2012.10.17 |
서양철학사 | 12 Aristoteles의 운동(kinesis)개념: dynamis, entelecheia, energeia (0) | 2012.10.04 |
서양철학사 | 11 Aristoteles의 형상내재론(形相內在論), 학문의 분류: 이론학, 실천학, 제작학 (0) | 2012.10.03 |
서양철학사 | 10 Sokrates와 Alkibiades(«향연», 212c-222b) (0) | 2012.10.02 |
서양철학사 | 09 Platon의 ‘좋음’의 형이상학: 좋음, 내 것, 불멸, ‘eros의 사다리’ (0) | 2012.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