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통史通」을 듣고 정리한다. 2024.12.25 δ. 사통史通(3)유지기, ⟪사통⟫(劉知幾, 史通)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shitong-0 유지기의 《사통史通》을 본격적으로 읽기에 앞서서 몇 가지 자잘한 이야기들을 introduction처럼 지금 하고 있다. 지난번까지는 사통을 왜 썼는가 그리고 사통에 갖춰져 있는 것과 사통에서 결여된 것들, 전목 교수의 이야기까지 포함해서 말했다. 오늘은 사통의 구조에 대해서 거론을 하고, 이렇게 거론함으로써 이제 introduction은 마무리를 하려고 한다. 《사통史通》의 구조는 형식적으로는 내편과 외편으로 되어 있다. 우리가 사통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통史通」을 듣고 정리한다. 2024.12.20 δ. 사통史通(2)유지기, ⟪사통⟫(劉知幾, 史通)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shitong-0 유지기劉知幾 사통史通(661-721) 당대唐代의 사관史官 전목錢穆, 사학명저강의史學名著講義 "중국학술관련 저작 가운데 매우 특수한 지위, 중국인들은 통론通論 같은 책을 쓰는 경우가 드물다. 사통은 중국의 사학통론史學通論에 해당하는 책. 중국 유일의 사학통론서라 할 수 있다." 사서史書를 평론했고 역사를 평론하지는 않았다. 역사적 정황[사정史情]과 역사적 의미[사의史意]를 발굴해내는 것이 사서史書의 작용作俑 사서는 다만 사서와 역사서술..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통史通」을 듣고 정리한다. 2024.12.14 δ. 사통史通(1)유지기, ⟪사통⟫(劉知幾, 史通)텍스트: buymeacoffee.com/booklistalk/shitong-0 유지기劉知幾 사통史通(661-721) 당대唐代의 사관史官 전목錢穆, 사학명저강의史學名著講義 "중국학술관련 저작 가운데 매우 특수한 지위, 중국인들은 통론通論 같은 책을 쓰는 경우가 드물다. 사통은 중국의 사학통론史學通論에 해당하는 책. 중국 유일의 사학통론서라 할 수 있다." 사서史書를 평론했고 역사를 평론하지는 않았다. 역사적 정황[사정史情]과 역사적 의미[사의史意]를 발굴해내는 것이 사서史書의 작용作俑 사서는 다만 사서와 역사서술..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공공역사란 무엇인가」을 듣고 정리한다. 2024.11.20 🎤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3-23강: 4장 공공역사와 미디어• 일시: 2024. 11. 20.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5130페이지 리빙 히스토리를 보자. "리빙 히스토리는 역사학 방법론이 아니라 역사 재연 혹은 다른 시대의 삶을 일깨우는 일체의 시도를 한다." 그러니까 이것은 일반적으로 민속촌 같은 데를 말한다. 살아있는 것처럼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131페이지를 보면 "과거를 적극적으로 전유하려는", 자기 것..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공공역사란 무엇인가」을 듣고 정리한다. 2024.11.20 🎤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3-13강: 4장 공공역사와 미디어• 일시: 2024. 11. 20.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5오늘은 116페이지 역사 매개에서 구술사와 시대적 증인을 보겠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역사책을 읽을 때 유념해서 봐야 되는 부분이 있는데, 인식론적인 안목, 비판적 안목을 가질 필요가 있는 그런 것에 관한 것이다. "구술사는 인간의 경험을 역사 연구에 중심에 두는 방법론이다." 여기서 핵심은 인간..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공공역사란 무엇인가」을 듣고 정리한다. 2024.11.13 🎤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2-22강: 3장 공공역사 방법론• 일시: 2024. 11. 13.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53장 공공역사 방법론을 보자. 91페이지를 보면 "공공역사는 독자적인 방법론을 가지고 있지 않지만," 독자적인 방법론이 없다는 말이 중요한 말이다. "역사학과 문화 연구의 다양한 접근법을 쓴다." 그러니까 공공역사라고 하는 항목 자체가 역사학과에서 파생된 것인데, 예전에는 단순히 문헌 자료만 사용..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공공역사란 무엇인가」을 듣고 정리한다. 2024.11.13 🎤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2-12강: 3장 공공역사 방법론• 일시: 2024. 11. 13.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5트럼프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의미를 좀 알아낼 필요가 있는데, 당장은 아닌더라도 그 사람 임기 중에 우리에게 직접적으로 닥칠 문제일 것 같아서 고민이다. 트럼프의 당선으로 인해 결국 가장 고통 속에 빠져 살게 될 사람은 누구일까. 트럼프를 뽑은 미국 국민들이다. 그런데 미국은 대안이 없다. 어떻..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공공역사란 무엇인가」을 듣고 정리한다. 2024.11.06 🎤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1-2 1강: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 2장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일시: 2024. 11. 6.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5왜 우리가 공공역사를 공부해야 되는지에 대해서는 앞 시간에 충분히 얘기했다. 55페이지를 보면 "역사교육의 기본 전제인 역사 연구는 세계의 시간성을 근본적으로 사고하는 성찰의 공간을 열어준다." 뉴라이트는 한반도에 사는 인간들은 야만인이나 다름없었는데 일본와서 그때..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공공역사란 무엇인가」을 듣고 정리한다. 2024.11.06 🎤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1-1 1강: 1장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 2장 역사교육과 공공역사• 일시: 2024. 11. 6.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5오늘부터 네 번에 걸쳐서 《공공역사란 무엇인가》 강의를 할 예정이다. 가까이 있는 수원화성이 유네스코에 등재되어 있는데 한국전쟁 때 무너져서 복원을 한 것이다. 원래 최근에 지은 것들은 유네스코에 등재가 안된든데, 어떻게 등재 되었을까. 수원화성을 지을 때 어떻게 ..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지리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4.10.30 🎤 사회지리학 8-2 7강 사회적 재생산• 2024. 10. 30.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4370페이지의 환경정의Environmental Justice, justice는 굉장히 무거운 말이다. 여기 보면 justice라는 말이 앞에서 말한 지속가능성이라는 말에서 무엇을 해야만 한다 하고 연결되는 것이다. 환경정의라는 것은 "글로벌 사회·정치운동이자 하나의 학술적 연구집단이며 정책적 목표이다..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지리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4.10.30 🎤 사회지리학 8-1 7강 사회적 재생산• 2024. 10. 30.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4오늘은 지속가능성과 환경정의를 얘기한다. 토마스 홉스가 쓴 《리바이어던》이라는 책이 있다. 홉스가 이 책을 쓸 때는 잉글랜드라고 하는 나라가 완전 콩가루 상태였다. 홉스의 자연 상태state of nature라는 말을 들어 봤을 것이다. 그리고 대표적으로 홉스와 대립되는 사람이 루소이다. 루소는 《인..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사회지리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4.10.23 🎤 사회지리학 7-2 7강 사회적 재생산• 2024. 10. 23. 오후 7시 30분 - 9시 30분 장소: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914앞 시간에서 사회적 재생산이라고 하는 영역이 중요하다는 얘기를 했는데, 일단 기본적으로 이 영역으로 들어오면 머릿속에서 생각을 아주 혁신적으로 바꿔야 된다. 한국 사람들은 정이 많다고 하는데, 일단 우리 편이다 라고 생각이 되면 그 정을 발휘하는데 남에 대해서는 무자비하다. 이것이 사회적 재생산을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