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3.09 문학 고전 강의 — 마지막 시간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40강 《문학 고전 강의》 해설 마지막 시간이다. 거의 100번 가까이하게 되었다. 중간에 다른 얘기도 많이 한다고 했는데 많이 못했다. 그래도 이번에 《문학 고전 강의》를 하면서 좀 보완해서 읽어봐야 되겠다, 클래식한 텍스트들을 좀 더 봐야겠다 생각한 것들이 몇 개 있었고 그런 것들을 따로 정리해 두었다. 기회가 되면 읽어보고 《문학 고전 강의》에 보완하는 의미로 고전적인 텍스트들을 해..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3.05 문학 고전 강의 — 94 제39강(2) 멜빌 《모비 딕》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39강(2) 《문학 고전 강의》 제39강 두 번째이다. 이슈메일에 대해서 지난번에 제가 이번에 다시 생각하게 된 것들을 말했다. 그렇게 생각을 하다 보니까 피쿼드 호에 승선한 선원들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프롤로그에 "미합중국 대통령 선거전"이나 "아프가니스탄에서 벌어진 피비린내 나는 전투"와 같은 얘기들이 있다. 이런 얘기들을 이렇게 ..
사업자분들이 알아야 할 월별세무일정을 안내합니다. 월별 세무일정표 월 일 세무일정 비고 03 11 2023년 지급명세서 제출(근로·퇴직·연금·사업소득) 2023년 귀속 03 11 2023년 건강보험 보수총액 신고 2023년 귀속 03 11 2024.02월분 원천세 신고 납부 2024.02월분 03 11 국민연금·건강·고용·산재보험료 납부 2024.02월분 03 15 고용·산재보험 근로내용 확인신고 2024.02월분 04 01 2024.02월분 일용근로소득, 사업소득 지급명세서 제출 2024.02월분 신고·납부 기한이 공휴일 또는 토요일, 근로자의 날인 때에는 국세기본법 제5조 【기한의 특례】 규정에 의하여 공휴일, 토요일 또는 근로자의 날의 다음날을 기한으로 합니다. ※ 110만 개 법인, 4월 1일까지..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3.02 문학 고전 강의 — 93 제39강(1) 멜빌 《모비 딕》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39강(1) 《모비 딕》을 읽는 《문학 고전 강의》 제39강이다. 오늘 제39강을 먼저 조금 하고 그다음에 다음 주 화요일에 39강을 마져하고 그리고 다음 주 토요일에 제40강을 하고, 제40강 이후에 마지막 시간이 있는데 마지막 시간은 여러분들이 그냥 읽어보면 될 것 같다. 거창하게 시작을 했는데 희미하게 끝나는 것 같아서, "어렴풋이 보이는" 상황으로만 끝나는..
명상록 수업 - 피에르 아도 지음, 이세진 옮김/복복서가 서문 I. 철인 황제 II. 『명상록』 개괄 III. 정신 수련으로서의 『명상록』 IV. 철인 노예와 철인 황제 ━ 에픽테토스와 『명상록』 V. 에픽테토스의 스토아주의 V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내면의 성채 혹은 동의의 규율 VI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욕망의 규율 혹은 운명애 VIII.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행동의 규율 혹은 인간을 위한 행동 IX. 『명상록』의 스토아주의 ━ 덕과 기쁨 X. 『명상록』을 통해 본 아우렐리우스 결론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6 우선, 현대 독자는 고대 저작이 오래전 처음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一요즘 나오는 인쇄 출판물처럼—늘 같은 상태였던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고대 텍스트는 인쇄되지 않았..
지정학 - 클라우스 도즈 지음, 최파일 옮김/교유서가 1. 지정학이란? 2. 지적인 독? 3. 구조물들 4. 대중지정학 5. 정체성 6. 사물들 감사의 말|저자 후기|참고문헌|독서 안내|도판 목록 14 지정학은 세 가지 특징을 포함한다. 첫째 지정학은 공간과 영토에 대한 영향력과 권력의 문제를 다룬다. 둘째 지정학은 세계정세를 이해하는 데 지리적 틀을 이용한다. 인기 있는 지리적 모형으로는 '세력권'(sphere of influence), '블록'(bloc), '뒷마당'(backyard), '인접국'(neighbourhood), '주변국'(near abroad) 등이 있다. 셋째 지정학은 미래지향적이다. 지정학은 각국의 이해관계가 근본적으로 불변하기 때문에 일어날 법한 국가 행위에 관한 통찰을 제공한다...
네덜란드 풍설서 - 마쓰카타 후유코 지음, 이새봄 옮김/빈서재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는 말 제 1 장 ‘통상’ 풍설서 제 2 장 무역허가조건으로서의 풍설서 제 3 장 풍설서의 관례화 제 4 장 위협은 가톨릭에서 ‘서양 근대’로 제 5 장 별단 풍설서 제 6 장 풍설서의 종언 맺음말 보론 : 통역과 ‘네 개의 창구’ 후기와 참고문헌 찾아보기 17 “제가 네덜란드 풍설서를 재미있는 테마라고 생각한 이유는 그것이 "인간이 타인을 이해하는 역사"의 일부이기 때문입니다. 네덜란드 풍설서가 일본의 역사에 있어서 중요한가를 말하자면 실은 그렇지도 않습니다. 그보다는 오히려 네덜란드 풍설서를 둘러싼 여러 에피소드로부터 인간이 타인을 이해하려고 할 때에 생겨나는 흥정이나 오해 그리고 그것을 넘어서고자 하는 신뢰 관계 등이..
라티오 출판사에서 제공하는 팟캐스트 '라티오의 책들'을 듣고 정리한다. 라티오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에 관한 강유원 선생님의 해설녹음이다. 팟캐스트 주소: https://ratiopress.podbean.com/ 2024.02.27 문학 고전 강의 — 92 제38강(2) 멜빌 《모비 딕》 ⟪문학 고전 강의 - 내재하는 체험, 매개하는 서사⟫, 제38강(2) 《문학 고전 강의》 모비 딕 제38강 내용을 본격적으로 들어가겠다. 《모비딕》은 표면만 이렇게 읽어가면 굉장히 쉬운 책이다. 전체 구도를 보면 그냥 그대로 읽을 수 있다. 프롤로그와 에필로그가 있고, 제1장 어렴풋이 보이는 것들이 프롤로그이다. 고린도전서 13장 12절에 지금은 여러분들이 거울에 비친 것처럼 희미하게 보지만 그날이 되면 모든 것이 뚜렷..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특강 철학·인문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4.01.24, 2024.02.21, 2024.03.20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4.02.22 🎤 정치(2) / 특강 철학·인문학 [2강: 2.21(수) 정치(politics)란 무엇인가?] 일시: 2024. 2. 21. 19시 30분-21시 30분 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28 강의 자료: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podanehoni 우리가 민주적 통치체 성립의 기본 ..
강유원의 책담화冊談話(https://booklistalk.podbean.com)에서 제공하는 「특강 철학·인문학」을 듣고 정리한다. 2024.01.24, 2024.02.21, 2024.03.20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에서 진행되는 강의이다. 2024.02.22 🎤 정치(1) / 특강 철학·인문학 [2강: 2.21(수) 정치(politics)란 무엇인가?] 일시: 2024. 2. 21. 19시 30분-21시 30분 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628 강의 자료: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podanehoni 한국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도 정확..
유대교와 헬레니즘 3 - 마르틴 헹엘 지음, 박정수 옮김/나남출판 제4부 유대교의 ‘그리스적 해석’과 예루살렘의 그리스어사용 유대인의 개혁시도 제1장 최초의 그리스 증언들: ‘철학자’ 유대인 11 제2장 유대교의 하나님과 그리스적 신 관념의 동일화 29 제3장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개혁시도와 실패 53 제4장 요약: 개혁시도와 좌절, 유대교적 반작용의 방대한 결과 163 제5장 종합적 개관과 결론 179 부 록 189 옮긴이 해제 209 참고문헌 249 찾아보기 331 제5장 종합적 개관과 결론 179 팔레스타인에서 유대교와 헬레니즘의 첫 만남에 대한 이제까지의 서술이 어떤 일목요연하면서도 반박할 수 없는 일관된 밑그림은 결코 아니었다. 왜냐하면 그것은 복잡한 역사적 실상들이 보통 그러하듯이, 하나의 도..
유대교와 헬레니즘 2 - 마르틴 헹엘 지음, 박정수 옮김/나남출판 제3부 팔레스타인의 유대교와 헬레니즘적 시대정신의 만남과 대결 제1장 구약정경의 후기 히브리문학에서 나타난 이른바 그리스 영향 15 제2장 초기 헬레니즘시기 유대 문학의 발전 21 제3장 전도서와 유대 종교 위기의 시작 35 제4장 벤 시라와 예루살렘의 헬레니즘적 자유사상가의 대결 83 제5장 유대·헬레니즘적 사고의 만남: 유대교의 지혜문학적 사변 139 제6장 하시딤과 유대교 묵시사상의 첫 번째 절정 209 제7장 초기 에센주의 327 제8장 요약: 헬레니즘에 대한 수용과 저항 사이의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421 부 록 439 제8장 헬레니즘에 대한 수용과 저항 사이의 팔레스타인의 유대교 421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시대가 막을 내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