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연표 | 한·중·일 근현대사


한·중·일 근현대사 연표


1권 <한·중·일 각국사>

1592 임진전쟁

1597 정유전쟁

1603 일본, 에도 바쿠후 개설

1616 중국, 후금 건국

1623 조선, 인조반정

1627 정묘전쟁

1636 후굼, 청으로 국호 변경, 병자전쟁

1644 명 멸망

1684 청, 해금 정책 중단 선언

1811 조선통신사 중단

1840 중국, 제1차 아편전쟁

1842 중국, 영국과 난징조약 체결

1854 미일화친조약 체결

1856 중국, 제 2차 아편전쟁

1858 일본, 인세이5개국조약 체결

1864 조선, 고종 즉위, 흥선대원국 집정

1868 일본, 메이지 유신, 메이지 정부 성립

1871 청일수호조규 체결

1872 일본, 류큐왕국을 폐지하고 류큐번 설치

1874 일본, 타이완 침공

1875 강화도 사건 발발

1876 조일수호조규 체결

1879 일본, 류쿠번 폐지 후 오키나와현으로 개편

1880 조선, 김홍집을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

1882 조선, 조미수호통상조약 조인 후 영국 및 독일과도 통상조약 조인, 임오군란, 조청상민수출무역장정 체결

1884 청프전쟁, 조선, 갑신정변

1889 일본, 대일본제국헌법 공포

1894 영일통상항해조약 조인. 조선, 동학농민전쟁, 청일전쟁 발발

1895 청일강화조약(시모노세키조약)체결. 러시아·독일·프랑스, 3국간섭. 일본, 타이완 침략전쟁. 조선, 을미사변

1896 청일통상항해조약 체결

1896 조선, 독립협회 결성

1897 독일군, 중국의 자오저우만 점령, 조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개정

1898 중국, 독일은 자우저우만, 러시아는 뤼순과 다헨, 영국은 홍콩과 웨이하이웨이, 플랑스는 광저우만 각각 조차.

1899 중국 의화단 신둥성에서 봉기. 미국, 중국의 문호 개방 선언

1900 8개국 연합군, 의화단 진압을 위해 베이징 점령

1901 청, 열강 11개국과 베이징의정서 체결

1902 제1차 영일동맹 체결

1904 한일의정서 체결, 러일정쟁, 한일외국국민고문용빙에 관한 협정(제1차 한일협약) 조인

1905 가쓰라-테프트ㅡ 밀약, 제2차 영일동맹 체결. 포츠머스모약 조인, 을사조약(제2차 한일협약) 체결. 

1906 일본, 한일통감부 설치, 관동도독부와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설립

1907 정미7조약(제3차 한일협약, 한일신협약) 체결. 제1차 러일협약 체결. 한국, 항일의병운동 전국으로 확대

1908 청 조정, 흠정헌법대강 발포

1909 일본, 내각 각의에서 '한일병합을 단행하는 방침' 결정.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 한국병합조약 강제 조인, 일본, 대역사건 발발

1911 중국, 신해혁명 발발

1912 중화민국 성립

1914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인본, 독일에 선전포고, 산둥 반도 침략

1915 일본, 중국에 '21개조 요구' 제출

1916 제4차 러일협약 체결

1917 미국과 중국, 제1차 세계대전 참전. 쑨원, 광둥에 군정부 수립. 러시아 10월 혁명. 

1918 미국의 윌슨 대통령, 14개조 평화원칙 발표, 제1차 세계대전 종결

1919 파리강화회의. 한국, 3·1운동. 코민테른 창설. 중국, 5·4운동. 소비에트, '카라한선언' 발표

1920 국제연맹 발족. 중국, 안즈전쟁. 니콜라옙스크 사건(이항 사건)발발. 일본군과 조선인 독립군의 청산리 전투.

1921 중국공산당 성립. 워싱턴회의(~1922)

1922 중국, 제1차 펑즈전쟁, 일본공산당 결성. 소련(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 성립. 극동민족대회 개최

1923 쑨원-요폐 선언

1927 중국, 제1차 국공합장. 몽골인민공화국 성립

1925 조선공산당 창립. 중국, 5·30운동

1926 중국, 국민혁명군에 의한 북벌전쟁 개시

1927 중국의 장제스, 상하이에서 반공 쿠데타. 난징 국민정부 성립. 일본, 제1차 산동 침략

1928 일본, 제2차 산둥 침략(지난 사건). 중국, 미국과 관세조약 개정. 중국, 장쭤린 폭살 사건. 파리부전조약 조인.

1930 중일관세협정 조인

1929 세계공항 시작

1930 런던해군군축조약 조인

1931 류타오후 사건(만주사변 시작)

1932 제1차 상하이사변, 관동군, 만주국 수립

1933 일본, 국제연맹 탈퇴

1935 일본, 화북 분리 공작. 중국공산당, '8·1선언'

1936 일독방공협정 체결. 중국, 시안 사건 발발

1937 중국, 루거우차오 사건(중일전쟁 시작). 제2차 상하이사변 발발. 제2차 국공합작. 난징 대학살 사건

1938 일본, 국가총동원법 공포. 국민정신총동원 조선연맹 조직

1939 일본, 노몬한 하건. 독소불가침조약 체결. 제2차 세계대전 발발. 일본, 국민징용령에 의한 조선이 강제동원 시작

1940 중국 난징에 왕징웨이 정권 수립. 일본·독일·러시아 3국 동맹.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광복군 결성

1941 일본,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남부에 진주. 독소전쟁 발발. 일본 해군, 진주만 공격(아시아·태평양전쟁 시작)

1942 연합국, 워싱턴에서 '국제연합선언' 발표. 중국 허베이에서 조선독립동맹 결성

1943 미·영·중 정상, 카이로회담

1944 일본, 조선에서 징병제 시행

1945 미·영·소 정상, 얄타회담. 독일 항복. 미국, 히로시마·나가사키에 원폭 투하. 소련, 대일 참전. 일본 항복. 

1945 소련과 중국의 국민정부, 중소우호동맹조약 체격. 한국, 해방과 38선 분할.

1946 일본국헌법 공포

1947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 '트루먼 독트린' 발표. 국제연합총회에서 남북한 총선거에 의한 정부 수립 결정.

1948 대한민국 수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재판) 판결

1949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성립. 중국인민공화국 수립

1950 한미상호방위원조협정 체결. 중소우호동맹상호원조조약 체결. 한국전쟁 발발

1951 샌프란시스코강화회의 개최, 미일전보장보조약 체결

1952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 발효, 일본, 주권 회복. 화일평화조약 체결

1953 한국전쟁 정전협정 성립,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1954 저우언라이와 네루, '평화 5원칙' 발표. 동남아시아조약기구(SEATO) 성립

1955 아시아·아프리카회의(AA회의) '반둥 10원칙' 채택. 바르샤바조약기구(WTO) 성립. 일본, 전후 '55년 체제' 시작

1958 중국 대약진운동 시작

1959 재일 코리안 북한 송환 시작

1956 소련, 흐루쇼프의 스탈린 비판 연설(소련공산당 제20차 당대회)

1960 한국, 4월 혁명. 일본, 미일안보조약 개정과 안보투쟁. 남베트남민족해방전선 결성

1961 한국, 5·16 군사쿠데타 발발

1962 쿠바 위기

1963 중·소 대립 격화. 미·영·소 부분핵실험금지조약 체결

1964 일본, 도쿄 올림픽 개최. 중국, 원폭 실험 성공(1967년 수폭 실험 성공)

1965 미국, 북베트남 폭격 시작. 한일기본조약 체결

1966 중국,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1976)

1967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성립

1968 북한 특수부대, 청와대 기습(1·21사건), 북한, 미국의 정보수집함 푸에블로호 나포

1969 미국의 닉슨 대통령, '닉슨 독트린' 발표(1970년 세계에 선포)

1971 오키나와 반환 협정. 중화인민공화국, 국제연합 가입

1972 미국의 닉슨 대통령, 중국 방문. 한국·북한 '남북공동성명' 동시 발표. 중·일 국교 정상화. 

1973 미·남베트남·북베트남·남베트남 임시혁명정부 사이에 베트남 평화협정 체결. 제1차 오일쇼크(~1975)

1976 동남아시아우호협력조약(TAC). 베트남사회주의공화국 수립

1978 중일평화우호조약. 중·미 국교 정상화. 중국공산당, '4대 현대화'를 목표로 한 '개혁·개방' 정책 결정. 

1980 한국, 5·18 광주민주화 운동

1987 한국, 6·10 민주화 운동

1988 한국, 서울올림픽 개최

1989 '동유럽혁명'. 고르바초프·뎡사오핑, 베이징회담으로 중·소 대립에 종지부. 중국, 텐안먼 사건. 베를린 장벽 붕괴

1990 한국·소련, 국교 수립. 독일 통일

1991 걸프전쟁. 바르샤바조약기국 해체. 한국·북한, 국제연합 동시 가입. 소련 해체

1992 뎡사오핑 '남순강화' 발표. 중국·한국, 국교 수립

1993 유럽연합(EU) 성립

1994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발표. ASEAN 지역안보포럼(ARF) 설립.

1995 세계무역기구(WTO) 발족

1997 미·일방위협력을 위한 지침(신가이드라인) 결정

1998 한국의 김대중 대통령, '햇볕 정책' 추진. 분한, 미사일 '대포동 1호' 발사. 한일공동선언. 중일공동선언

2000 한국의 김대중, 북한의 김정일과 남북정상회담 및 공동선언

2001 9·11 사건. 중국, WTO 가입

2002 월드컵 한·일 공동 개최

2003 북한 핵문제를 둘러싼 6자회담 시작

2005 동아시아정상회의(EAS) 설치

2008 중국, 베이징 올림픽 개최



2권 <테마로 읽는 사람과 교류의 역사>

1880 이시기 전후로 일본에서는 자유민권운동이 고양되어 국회 건설 및 헌법 제정 요구

1889 대일본제국헌법 발포

1897 조선,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고 고종, 황제에 즉위

1898 청의 황제, 개혁운동 채용(무술변법), 쿠데타로 좌절. 한국에서 만민공동회가 개최되고 국정개혁안 결정

1899 대한제국, 대한국국제를 정하고 황제의 지위와 권한을 강화

1908 청, 흠정헌법대강을 공표하고, 9년간 헌법 제정 준비 기간을 가짐

1910 일본의 한국병합으로 대한제국 소멸

1911 청, 신해혁명

1912 일본의 미노베 다쓰키치, <헌법강화> 간행, 천황기관설 전개. 중화민국 성립. 난징정부, 중화민국임시약법 공포

1919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헌법제정

1931 중국국민당의 난징 정부, 중화민국훈정시기약법 공포. 전국노농병대표대회에서 '중화소비에트공화국헌법대강' 채택

1936 중화민국헌법 초안 공포

1937 루러우차오 사건 발발. 중국의 국민대회가 무기한 연기되면서 헌번이 제정·공포되지 않음.

1941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 발포

1946 일본국헌법 공포. 중국에서 국공내전 본격화, 국민당이 중화민국헌법 채택

1948 한국, 제헌국회에서 헌번 제정및 대한민국 수립. 북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성립, 헌법 채택

1949 중국국민당, 타이완으로 물러남.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공동강령' 제정

1954 중화인민공화국헌법(1954년 헌법) 성립. 일본, 자위대 발족 및 재군비 진행. 한국, 사사오입 개헌

1960 일본, 안보투쟁(이후 해석·운용에 의한 개헌이 노선화). 한국, 4월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 퇴진, 개헌(의원내각제 채택)

1972 한국, '10월 유신' 선포, 유신헌법 채택(7차 개헌, 대통령 간선제). 북한, 사회주의헌법 공포

1978 중국, '1978년 헌법' 제정, '1954년 헌법'의 일부 원칙과 제도 부활

1982 중국, '1982년 헌법' 제정, 4대 현대화와 개혁·개방 노선 표현

1987 한국, 6·10 민주화운동으로 대통령 직선제 실현

19898 북한, 헌법을 개정하고 김정일 국방위원장 체제 출발

2003 일본, 이라크 전쟁에 자위대 파견(~2004), '9조회'운동 전국 확산


1845 청, 상하이에 영국 조계 설치(1848 미국, 1849 프랑스)

1859 일본, 미일수호통상조약(1858)에 따라 요코하마 개항, 영국의 P&O사, 싱가포르-상하이 항로를 나가사키-오코하마까지 연장

1863 청, 상하이의 영·미 양국 조계 합병, 공동조계 형성

1867 미국, 태평양우선회사 샌프란시스코-오코하마-상하이 항로 개설

1871 일본, 청일수호조규에 따라 요코하마 거류지의 중국인 자치권 승인

1875 일본, 우편기선미쓰비시회사 요코하마-상하이 항로 개설

1876 조선, 강화도조약으로 부산 개항. 미쓰비시, 나가사키-쓰시마-부산 정기항로 개설(1880, 고베까지 항로 연장)

1877 조선, 초량 왜관을 일본의 부산 전관거류지로 개편 후 일본 영사관 설치

1883 중국의 초상국, 상하이-나가사키-인천-부산 정기항로 개설

1884 조선, 인천·부산에 중국인 전관조계 설치

1894 일본, 청일전쟁 시기 부산에 병참 사령부 설치

1899 일본, 치외법권 철폐에 따라 거류지 제도 폐지

1905 시모노세키와 부산 간 관부연락선 개설, 조선과 일본의 철도망 연결

1910 일본의 한국병합으로 한국의 거류지 제도 폐지

1913 조선총독부, 일본인과 중국인의 부산전관거류지 부산부에 편입

1925 중국, 상하이 공동조계의 노동자 파업, 5·30사건 발생

1927 중국의 장제스, 상하이에서 쿠데타를 일으키고 난징 국민정부 수립

1937 중일전쟁으로 제2차 상하이사변. 일본군이 조계 이외의 상하이 전 지역 점령

1941 일본군, 상하이 조계 진주. 아시아·태평양 전쟁 발발

1943 중국, 중미·중영 신약에 다라 상하이의 공장을 내륙부로 이전

1979 한국, 부마민주항쟁

1983 일본, 요코하마 도심부 재개발사업으로 '미나토미나리21'사업 창공

1990 중국, 상하이 푸둥 신구 개발사업 개시, 상하이 중권거래소 재설립

2003 한국, 부산근대역사관 개관(구 동양척식주식회사 건물)


1827 일본, 도교-요코하마 철도 개통

1876 자단메디슨상화, 상하이에 우쑹철도를 건설. 청 정부, 이를 구입해 파괴

1889 청, 루거우차오-한커우 철도 건설 비준

1896 미국인 모스, 경인철도 부설권 획득

1898 대한제국, 한성-목포 간 철도 건설 계획, 박기종, 부산항-한단포 철도 건설 계획(자본 부족으로 무산)

1899 타이완, 남북 종관철도 건설 개시

1900 대한제국, 일본에 의해 경인선 개통

1903 중국, 민간과 지방에 철도부설권 개방. 둥칭철도 개통

1905 대한제국, 일본에 의해 경부선 개통. 일본, 둥칭철도 남만지선과 부속권리 획득

1906 일본, 남만주철도주식회사(만철) 설립. 중국, 루거우차오-한커우 철도 개통

1908 타이완, 지룽-가오숭 간 남북 종관철도 완성

1911 압록강 철도 준공, 한국의 신의주와 중국의 안둥철도 연결. 중국, '간선 국유 정책' 실시. 철도 국유화 반대운동

1915 일본, 중국 '21개조 요구'. 안평철도와 만철의 경영권 기한 99년으로 연장

1917 조선총독부 관할 국유철도 만철에 위탁 경영

1925 만철에 대한 조선 철도 위탁 경영 해제, 조선총독부 직영

1926 두만강 철교 완성으로 조선 철도와 만주 철도 연결. 타이완, 타이둥선 개통

1932 만주국 성립, 1935년까지 만주의 모든 철도 국유화

1933 만철, 조선 북부 지역 철도 경영

1963 일본, 메이신고속도로(나고야-고베) 일부 구간 개통

1964 일본,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신오사카) 개통

1970 한국, 경부고속도로 개통

1988 중국, 고속도로 건설 시작

2004 한국, 한국고속철도(KTX) 개통


1845 청, 상하이에 영국 조계 설치

1862 일본의 바쿠후, 최초의 유학생 네덜란드에 파견

1868 일본, 고베에 거류지 설치. 일본인 최초의 해외 이민(하와이·괌)

1871 청의 군대, 조선에서 임오군란 진압, 이후 중국인 상인의 조선 이민 증가

1883 조선, 인천 개항과 동시에 일본인 거류지 설치(이듬해 중국인 조계 설치)

1902 조선인 최초의 해외 이민(하와이)

1905 대한제국 정부, '이민금지령' 발표

1906 남만주철도주식회사 설립, 뤼순·다렌에 일본인 이민 증가

1909 일본군, '남한대토벌작전'으로 호남 의병 탄압, 호남 지방에 일본인 이민 증가

1910 일본의 한국병합 이후 조선인의 만주 이주 증가

1911 취업을 목적으로 한 조선인의 일본 이주 본격화

1919 일본 도쿄의 조선인 유학생, '2·8독립선언' 발표

1933 조선총독부, 동만주에 집단부락 조성

1936 일본, '만주 농업이민 100만 호 이주 계획'수립

1939 일본, 만주국에 '북변진흥계획' 실시, 중국 허베이 지역 노동자 대거 이동

1941 일본, 제2기 국책이민 5개년 계획 수립

1944 일본, 조선인의 징병제 실시

1945 일본, 조선인의 해외 강제동원 중지. 재일조선인연맹(조련) 결성

1946 재일본조선거류민단(민단)결성

1948 재일코리안, 일본에서 한신교육투쟁

1955 재일본 재일한국인에게 특별 영주자격 부여

1991 일본, 재일한국인에게 특별영주자격 부여

1993  일본, '외국인등록법' 개정, 영주자 지문날인 폐지


1880 일본, 형법 제정, 여성에게만 간통죄 적용

1898 일본, 민법 친족편과 상속편(가족법) 제정·시행, 호주제 설정. 청, 최초의 여학당 성립

1899 일본, 고등여학교령 제정, 양처현모주의 제창

1907 청, 여자사범학당장정과 여자소학장정 제정, 현처양모 교육 지향

1911 일본, 히라쓰카 라이초가 문예잡지 <세이토> 창간

1912 중국, 민률법안 작성, 남편의 재산계승 등 일부 승인. 조선총독부, 조선민사령 시행

1919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한민국임시헌장에서 남녀평등과 공창제 페지 표방

1930 중국, 민법의 친속·계승편 재정·공포, 동성불혼제 폐지

1931 중화소비에트공화국, 혼인조례 제정·공포, 결혼·이혼의 자유 규정

1934 중국, 형법 제정·공포, 남녀 모두에게 간통죄 적용

1946 일본, 여성 참정권 실현

1947 일본, 민법을 개정하여 이에 제도 폐지, 형법 개정으로 간통죄 폐지

1948 한국, 여성 참정권 실현

1950 중국, 혼입법 제정·공포, 혼인의 자유와 일부일처제 등 규정

1956 일본, 매춘방지법 성립

1961 한국, '윤락행위 등 방지법' 제정, 일본, 배우자 특별공제제 신설

1987 한국, 남녀고용평등법 제정

1992 중국, 여성의 합법적 권익보장법 제정

1994 한국, 성폭력특별법 제정

1997 한국, 가정폭력방지법과, '남녀 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제정

1999 일본, '아동매춘 및 아동 포르노 처벌법' 제정

2001 중국, 혼인가정법 제정. 일본, '배우자 간 폭력 방지 및 피해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

2004 한국, '성매매 방지 및 피해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 제정

2005 한국, 가족법 개정, 호주 제도와 동성동본 불혼제 폐지. 중국, 여성권익보장법 실시


1862 청, 경사동문관 설립으로 신식 교육제도 도입

1872 일본, 근대 학제 공포

1880 일본, 취학 의무화. 정·촌의 공립소학교 설치 의무 강화

1886 일본, 학교령 공포, 근대 교육제도 규정. 교과서 검정제 시행

1890 일본, 교육칙어 공포

1894 조선, 갑오개혁 이후 근대 교육체제 정비

1895 조선, 교육조서 발표. 소학교령 공포

1897 청, 최초의 근대 교육 교과서 <몽학과본> 발행

1898 청, 일본을 본뜬 근대 학제 도입, 경사대학당 창립

1902 청, 임인학제(1903년 계묘학제)로 정비해 근대 교육제도 구축. 교과서 국정제·심정제 구상

1904 일본, 소학교 교과서 국정제 시행

1905 청, 과거제 폐지, 학부 설립 등 근대 교육제도 정식 실시, 

1909 대한제국,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 반포, 검정제 도입

1912 중국의 난징 임시정부, 초등교육을 정비, 교과서 심정제 시행

1919 조선, 3·1운동 이후 교율열 상승, 조선총독부에 보통학교 증설 요구

1922 중국, 미국의 6-3-3제를 본떠 임술학제로 개편

1937 일본, 전쟁에 총동원하는 교육체제로 개편. 조선총독부, '황국신민 서사' 제정하여 암송·제창 강제

1941 일본·조선·타이완, 일제히 국민학교령 공포

1947 일본, 교육기본법 제정

1948 일본, 교과용 도서 검정규칙 제정

1950 한국, 6년간의 초등 의무교육 시작

1951 중국, 신학제 공포, 농민과 노동자를 위한 소·중학교를 정규 교육체제에 편입

1969 한국, 중학교 무시험 입학과 평준화 시작

1982 중국, 초등 의무교육 시작

1985 중국, 초급중학교 의무교육 실시

1986 중국, 교과서 제도 '심의제'로 전환, 초·중·고 교과서가 다양해짐


1827 중국 최초의 근대 신문 <광둥 레지스터>(영문) 창간
1870 일본의 일간신문 <요코하마아이니치신문> 창간
1872 중국 상하이에서 영국인 상인이 <선바오> 창ㅇ간(1909년 중국인 상인이 소유함)
1883 조선의 통리아문 박문국에서 <한성순보> 창간(1886년 <한성주보>로 복간됨)
1896 조선 최초의 민간 신문 (독립신문) 창간. 중국 상하이의 쉬위안에서 최초로 영화 상영
1898 한국, <매일신문>·<제국신문>·<황성신문> 등 창간
1899 일본 최초로 제작한 실사 영화 <피스톨 강도 시미즈 사다키치> 상영
1905 중국 베이징의 평타이 사진관, 경극 영화 <당쥔산> 제작
1909 일본, 신문지법 공포. 중국 상하이에 영화회사 '아세아영화공사' 창립
1910 일본, 한국병합 후 한국인이 발행하는 신문 폐간
1912 중화민국, 임시약법에서 언론의 자유 인정, 신문 발행 급증
1913 중국 상하이에서 최초의 극영화 <난부난처> 촬영
1920 조선총독부, '문화통치'하에서 조선어판 신물 발행 제한적 허가
1925 일본에서 라디오 방송 개시
1926 조선의 나운규가 감독·출연한 영화 <아리랑>이 대성공을 거둠
1927 중국 상하이 신신백화공사에서 라디오 방송국 설립. 조선에서 경성방송국이 개국하여 라디오 방송 개시
1928 중국, 최초의 전국 라디오 방송국인 중앙방송국 개국. 일본, 쇼화 천황의 즉위대례가 라디오로 전국 중계
1935 한국 최초의 유성영화 <춘향전> 상영
1939 일본에서 영화법 공포
1940 일본, 내각에 정보국 설치, 전쟁보도에 대한 일원화된 관리 체제 구축
1945 일본 천황, 라디오 방송으로 항복 선언. 
1949 중화인민공화국, 신문 발행과 영화 제작 국영화
1953 일본방송협회(NHK)의 텔레비전 방송 개시
1956 한국에서 HLKZ-TV가 텔레비전 방송 개시
1958 중국에서 베이징방송국이 텔레비전 방송 개시

1931 만주사변 발발
1932 일본군, 상하이에 최초로 위안소 설치
1937 중국, 산시성 위현에 중국공산당 지부 성립. 중일전쟁 발발, 난징대학살, 일본국 109여단 1연대, 위현을 공격
1938 일본군, 위현 현성 점렴. 조선에서 육귝특별지원법령 공포
1939 일본, '노무동원계획' 각의 결정
1940 중국, 백단대전 개시. 일본군, 허둥촌 점령
1941 일본군, 중국의 시옌진에서 학살, 난서에서 학살
1942 일본군, 싱가포르에서 중국인 학살. 타이완에서 500명의 제1회 고사정신보국대를 필리핀에 파견. 필리핀 점령
1944 일본, 여자정신근로령 공포
1945 오키나와 전투 개시와 종결, 하나오카 사건 발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폭 투하. 
1949 한국, 3·1절, 8·15광복절을 공휴일로 지정
1954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건립
1959 야스쿠니신사, 조선인 해군 군속 대규모 무단 합사
1970 한국원폭희생자위령비,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밖에 세움
1975 일본, 오키나와 평화기념자료관 공식 개관. 한국 정부, 오키나와 평화기념공원 근처에 한국인 위렵탑 건립
1982 일본의 역사 교과서 검정이 동아시아에서 외교문제화됨. '근린 제국 조항'을 설정으로 일단락됨
1985 중국, 침화일군난징살우난동포기념관, 갑오전쟁박물관 개관
1987 중국, 베이징에 중국인민항일전쟁기념관 건설. 한국, 독립기념관 개관
1991 한국, '위안부' 생존자가 처음 실명으로 증언하고 일본 정부에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며 제소. 
1992 한국, 서대문에 독립공원 건립
1994 중국, '애국주의교육실시강요' 공포
1995 한국,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일본, 오키나와 평화기념공원에 '평화의 비' 건설

출처

댓글